행복한집의 비밀

아이 마음속 불안, 그림으로 표현하게 도와주는 방법– 말로 못하는 감정을 ‘그림’으로 꺼내는 치유 육아 본문

육아 & 가족 생활

아이 마음속 불안, 그림으로 표현하게 도와주는 방법– 말로 못하는 감정을 ‘그림’으로 꺼내는 치유 육아

떵상 2025. 6. 26. 09:00

“요즘 아이가 자주 짜증을 내요. 이유를 말해주질 않아요.”
“괜히 울고, 말수가 줄었는데 왜 그런지 모르겠어요…”
이런 모습, 부모로서 너무 걱정되고 안타깝죠.

특히 2~7세 아이들은
불안, 슬픔, 두려움 같은 복잡한 감정을
언어로 정확하게 표현하기 어려운 시기입니다.

그럴 땐, 아이의 ‘마음 언어’가 되는 것이 있습니다.
바로 그림입니다.
말 대신 색과 선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그림은
아이에게 가장 안전하고 솔직한 감정 창구가 될 수 있어요.

오늘은 아이가 그림을 통해 불안을 표현하도록 도와주는
부모의 따뜻한 반응법과 실천 팁을 소개할게요 😊


📌 목차

  1. 아이는 왜 불안을 감추려 할까?
  2. 그림은 아이의 내면을 비추는 창
  3. 그림으로 마음을 표현하게 돕는 실전 방법
  4. 그림을 보고 감정을 읽어주는 부모의 말
  5. 그림 놀이를 꾸준히 이어가는 환경 만들기
  6. 정리 꿀팁 + 실천 제안

1. 아이는 왜 불안을 감추려 할까?

아이들은 스스로 느끼는 불안이나 두려움을
“엄마 미워”, “싫어”, “몰라요” 같은 말로 돌려 말하기도 하고
그냥 말없이 짜증, 떼쓰기, 분리불안, 잠투정 등으로 표현하기도 해요.

📌 이 시기 아이는

  • 감정을 언어로 정리할 힘이 부족하고
  • 자신의 감정이 부모에게 받아들여질지 불안하기도 해요

그래서 감정을 꾹꾹 누르고 마음에 쌓아두는 경우가 많습니다.


2. 그림은 아이의 내면을 비추는 창

그림은 아이의 말보다 더 진심을 드러내는 도구예요.
형체가 없어도, 색이 흐트러져도, 의미를 몰라도 괜찮아요.
그 자체로 아이의 마음 상태를 보여주는 소중한 신호입니다.

예:

  • 검정색만 계속 사용하는 아이 → 불안, 무력감
  • 자신 없이 흐릿하게 그리는 그림 → 자신감 저하, 위축감
  • 자주 같은 사람을 그리고 반복한다면 → 관계 불안 혹은 애착 욕구

💬 단, 분석보다 중요한 건
있는 그대로의 그림을 받아들이는 부모의 시선입니다.


3. 그림으로 마음을 표현하게 돕는 실전 방법

🎨 아이가 그림으로 감정을 표현하도록 유도하는 방법:

✅ 1. 준비는 ‘편안함’부터

  • 정해진 주제 없이 자유롭게
  • 결과물보다 ‘과정’에 집중
  • 종이, 크레용, 스티커, 붓 등 다양하게 활용

✅ 2. 유도 질문은 이렇게!

  • “오늘 어떤 색이 그리고 싶어?”
  • “지금 마음은 뭐처럼 생겼을까?”
  • “화나면 어떤 모양이 떠올라?”
  • “슬펐을 때 그 장면을 그려볼래?”

👉 이런 질문은 아이가 감정과 그림을 연결하는 연결고리가 돼요.


4. 그림을 보고 감정을 읽어주는 부모의 말

❌ 하지 말아야 할 말

  • “이게 뭐야?”
  • “그건 그렇게 그리는 게 아니야”
  • “왜 이런 무서운 걸 그렸어?”

✅ 이렇게 말해보세요

  • “이 색을 골랐구나~ 지금 그런 기분이었어?”
  • “이걸 그릴 땐 어떤 마음이었는지 말해줄래?”
  • “엄마는 이 그림에서 네가 참 용감해 보였어”

📌 중요한 건 그림을 해석하지 말고, 감정을 함께 나누는 것입니다.


5. 그림 놀이를 꾸준히 이어가는 환경 만들기

정기적으로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시간을 루틴화해보세요.

시간대 추천 활동 예시

저녁 30분 하루 감정 그림 그리기 – 오늘 가장 좋았던 일/속상했던 일
주말 오전 가족 마음 그리기 – 엄마, 아빠, 나의 기분을 색으로 표현하기
외출 후 “오늘 다녀온 곳” 그리기 → 경험 회상 + 감정 표현 연습

🎯 부모도 같이 그려보세요!
→ “엄마는 오늘 파란색 기분이야~ 너는?”
→ 감정 대화가 훨씬 자연스럽게 연결됩니다.


💡 육아 꿀팁 요약

  • 아이의 불안은 말보다 그림으로 먼저 표현될 수 있어요
  • 그림은 해석보다 감정에 공감해주는 태도가 중요해요
  • 정해진 주제보다 자유롭고 안전한 분위기가 먼저예요
  • 부모가 함께 그리며 감정을 나누면 애착과 안정감이 커집니다

✅ 오늘의 실천 제안

✔ 오늘 아이에게 “지금 기분을 그림으로 그려볼래?”라고 물어보기
✔ 아이가 그린 그림에 대해 “그땐 어떤 마음이었어?” 질문해보기
✔ 하루 한 장 ‘감정 그림 일기’로 모아보기
✔ 부모도 함께 그리며 감정 표현하는 모습을 보여주기


✅ 핵심 요약

아이의 불안한 마음은 말이 아니라 그림을 통해 먼저 드러날 수 있습니다.
그림을 함께 보고, 말하지 않아도 느끼는 마음을 공감해준다면
아이에게 가장 안전하고 따뜻한 표현의 창구를 열어주는 셈이에요.
오늘부터 아이의 그림 한 장, 마음 한 자락을 들여다보세요. 🎨